Satbyeol OBGY Clinic
여성질환
소중한 당신의 몸,
샛별산부인과가 함께 고민하겠습니다.
Asset_1.png

월경과다
월경량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

월경이 7일 이상 계속되거나 월경량이 한 주기에 80mL 이상으로 과도하게 많은 경우 
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원인


  • 자궁근종
  • 자궁선근증
  • 자궁내막증식증
  • 혈액응고장애
진단위해 기본적으로 초음파 검사와 내진을 통해 자궁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빈혈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혈액응고검사를 시행합니다
자궁내막의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.
Asset_1.png

월경통
월경곤란증은 흔히 말하는 생리통으로
생리를 하는 여성의 약 50%에서 나타납니다.
원발성 월경곤란 (일차성 생리통)
골반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 생리통이 있는 경우
대개 초경 후 1~2년 이내에 나타납니다.
주로 젊은 여성에게 나타나지만 40대까지 
계속될 수 있습니다.
원인은 자궁 내막의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으로 자궁 수축의 톤이 증가하여 발생합니다.

대개 생리 시작 몇 시간 전이나 생리 시작 직후에 통증이 시작되어, 48~72시간 동안 지속됩니다. 통증은 방광 위쪽에서 허리, 천골, 허벅지까지 전파될 수 있습니다. 오심, 구토와 함께 설사를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.
일차성 생리통에서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제(NSAIDs)복용이 효과적입니다.

속발성 월경곤란 (이차성 생리통)
기질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


골반의 병변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초경 후 수년이 지난 후에 생깁니다.
통증은 생리 시작 1~2주 전에 시작되어, 생리 끝난 후 수일간 지속될수 있습니다,
원인으로는 자궁근종, 자궁선근증 및 자궁 내막증 등이 있습니다.
치료
원인에 따라 여성호르몬제로 조절할수 있으며 자궁의 상태에 따라 자궁내 미레나 시술로 월경양을 줄일수 있습니다.